[10818] 최소, 최대
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 : 256MB
문제 :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. 이때,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 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주어진다. 모든 정수는 -1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출력 : 첫째 줄에 주어진 정수 N개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.
풀이
최솟값과 최대값을 구하는 내장함수 min과 max를 사용하면 쉽게 풀 수 있다.
N = int(input())
num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print(min(num), max(num))
[2562] 최대값
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 : 256MB
문제 :
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,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,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, 29, 38, 12, 57, 74, 40, 85, 61 이 주어지면,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, 이 값은 8번째 수이다.
입력 :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.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.
출력 :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,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.
풀이
입력값을 num이라는 리스트로 받아준 후, 파이썬 내장함수 max()를 사용해 최댓값을 구한다.
그리고 특정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리턴하는 index()를 통해 최댓값에 해당하는 index를 찾은 뒤, 여기에 +1를 해준다.
num = []
for _ in range(9):
num.append(int(input()))
print(max(num))
print(num.index(max(num)) + 1)
[3052] 나머지
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: 128MB
문제 :
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, A%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. 예를 들어, 7, 14, 27,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, 2, 0, 2이다.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,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.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이 숫자는 1,000보다 작거나 같고, 음이 아닌 정수이다.
출력 : 첫째 줄에, 42로 나누었을 때,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.
풀이
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인지 구하기 위해, 중복값을 허용하지 않는 set을 사용하였다. n을 42로 나눈 나머지(n%42)를 set에 추가한 후, 최종적으로 set의 길이를 구하면 된다.
num = []
for _ in range(10):
num.append(int(input()))
cnt = set()
for n in num:
cnt.add(n%42)
print(len(cnt))
[1546] 평균
시간제한 : 2초
메모리제한 : 128MB
문제 :
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.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.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. 이 값을 M이라고 한다.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/M*100으로 고쳤다.
예를 들어,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,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/70*100이 되어 71.43점이 된다.
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,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
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.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,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.
출력 :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.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-2 이하이면 정답이다.
풀이
먼저 가장 높은 점수를 찾아서 기존의 점수를 새로운 점수로 변경한다.
새로운 점수는 (기존 점수 / 최대점수) * 100으로 구할 수 있다.
새로운 점수를 모두 리스트에 저장한 후, 새로운 점수의 합을 입력한 N값으로 나누어주면 된다.
N = int(input())
score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ax_score = max(scores)
new_score = []
for score in scores:
score = (score/max_score) * 100
new_score.append(score)
print(sum(new_score)/N)
[8958] OX 퀴즈
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 : 128MB
문제 :
"OOXXOXXOOO"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.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,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.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. 예를 들어, 10번 문제의 점수는 3이 된다.
"OOXXOXXOOO"의 점수는 1+2+0+0+1+0+0+1+2+3 = 10점이다.
OX퀴즈의 결과가 주어졌을 때,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길이가 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문자열이 주어진다. 문자열은 O와 X만으로 이루어져 있다.
출력 :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점수를 출력한다.
풀이
OX 퀴즈의 점수는 연속해서 정답을 맞출수록 +1이 되므로, 'O'가 얼마나 연속되는지 체크할 수 있게 조건문을 설정하였다.
각 테스트케이스에 입력된 string 값을 반복하여 'O'인 경우 O가 연속되는 개수(cnt)를 점수(score)에 더하고, 'X'가 나오면 연속되는 개수를 0으로 리셋하였다.
N = int(input())
exams = []
for _ in range(N):
exams.append(input())
for exam in exams:
score = 0
cnt = 0
for ox in exam:
if ox == 'O':
cnt += 1
score += cnt
else:
cnt = 0
print(score)
[4344] 평균은 넘겠지
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 : 256MB
문제 : 대학생 새내기들의 90%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.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.
입력 :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(1 ≤ N ≤ 1000, N은 정수)이 첫 수로 주어지고,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.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,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출력 :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풀이
각 줄의 입력값을 stu_scores라는 리스트를 만들어 여기에 추가하였다.
각 줄마다 입력되는 첫 번째 수는 학생의 수이고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지므로
점수의 평균은 각 줄의 입력값 인덱스 1 이후의 값들의 합을 각 줄의 첫 번째 입력값으로 나누어주면 된다.
그리고 다시 이렇게 구한 평균을 기준으로, 반복문을 통해 평균보다 높은 점수가 나올 때마다 cnt에 1씩 추가하여
학생 N명으로 나누어 퍼센트를 구한다.
이때 출력 형식은 소수점 셋째자리까지이므로 {:.3f}를 사용하였다.
C = int(input())
stu_scores = []
for _ in range(C):
stu_scor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stu_scores.append(stu_score)
for score in stu_scores:
avg = sum(score[1:])/score[0]
cnt = 0
for i in range(len(score)):
if i == 0:
pass
else:
if score[i] > avg:
cnt += 1
ratio = (cnt/score[0]) * 100
print(f'{ratio:.3f}%')
'코딩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2292] 벌집 / 파이썬 (0) | 2022.08.30 |
---|---|
[백준 1712] 손익분기점 파이썬 (0) | 2022.08.29 |
[백준] 단계별로 풀어보기 : 함수 (0) | 2022.08.28 |
[백준] 단계별로 풀어보기 : 반복문 - 1 (0) | 2022.08.17 |
[백준] 단계별로 풀어보기 : 조건문 (0) | 2022.08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