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간제한 : 1초
메모리제한 : 192MB
문제 :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 :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풀이
예시에 나와있듯, 자연수 245의 분해합은 자연수 245에 각 자리수의 합을 더한 245 + 2 + 4+ 5 = 256이다.
생성자는 분해합의 역으로, 256의 생성자는 245가 된다.
문제에서는 입력받은 자연수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할 것을 요구하였으므로,
우선 1부터 N의 범위 내에서 생성자를 찾을 수 있도록 반복문의 범위를 설정한다.
(N의 생성자는 N보다 클 수 없으며, N이 한 자리 자연수라면 N과 N의 생성자는 동일할 수 있다.)
이후 반복문 내에서 확인하는 숫자를 string 형태로 바꾼 후, 각 자리수를 다시 integer 타입으로 변환하여 확인하는 숫자에 더해준다. 이때 합한 결과값이 입력받은 자연수 N과 같다면 반복문을 종료하고 확인하는 숫자를 출력한다.
만약 같은 값이 나오지 않는다면 생성자가 없는 것이므로 0을 출력한다.
N = int(input())
for n in range(1, N+1):
generated_num = n
for i in str(n):
generated_num += int(i)
if generated_num == N:
result = n
break
else:
result = 0
print(result)
'코딩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1018] 체스판 다시 칠하기 / 파이썬 (1) | 2022.09.25 |
---|---|
[백준 7568] 덩치 / 파이썬 (2) | 2022.09.20 |
[백준 10757] 큰수 A+B / 파이썬 (0) | 2022.09.15 |
[백준 2839] 설탕 배달 / 파이썬 (0) | 2022.09.14 |
[백준 2775] 부녀회장이 될테야 / 파이썬 (0) | 2022.09.03 |